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Ane
- XML
- Mac
- class
- 단축키
- 배열
- iphone
- builder
- 아이튠즈
-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 Flash
- Build
- unity
- 3d
- 게임
- ios
- 영어
- smartfoxserver
- AIR
- unity3D
- AS3
- swf
- Android
- Game
- texture
- 경로
- flash builder
- path
- sdk
- file
- Today
- Total
목록디자인(Design) (39)
상상 너머 그 무언가...
size : 1150 * 391 size : 385 * 131
2013년 4월 22일 - 아기 공룡 둘리 탄생 30주년2013년 4월 15일 - 레오나르 오일러 할로윈 기념
기존에 있던 다른 링크의 Jnlp 파일을 실행하면 Rendering 에 미리보기 이미지가 나타나지 않으면서 저장도 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데 아래 링크를 바로 접근해서 실행하면 이상하게도 잘 동작하는 경우가 있다 아마 누군가 정상동작하지 않는 코드를 손본 버전인것 같다. http://www.google.fr/url?sa=t&source=web&cd=2&ved=0CCgQFjAB&url=http%3A%2F%2Fn4te.com%2Fhiero%2Fhiero.jnlp&rct=j&q=hiero%20lion%20font&ei=ryJuTq3VK8SF-wat9qjmBA&usg=AFQjCNH9b2dk-gQYEHgoQmFkXjiM9wSDEw&sig2=1plodsazWJVULDNRiLEWUA Rendering에 미리보..
이번에 업데이트된 Lion 버전에서 로그인 화면의 배경이미지가 깔끔하니 보기 좋았다. 로그인 화면을 맥의 기본 바탕화면으로 설정하고 싶어 검색을 해봤지만 로그인 화면의 그 느낌을 살린 내맘에 드는건 없었다. 그래서 인터넷 여기저기서 구한 이미지들 조합해서 만들어 봤다. ㅡㅡ;; 살짝 그라데이션 비율이 다르다 T_T
마야에서 frame rate를 변경하러면 preferences 화면으로 이동해야 한다. 아래 이미지의 경로처럼 Window > Settings/Preferences > Preferences 로 이동하자. Preferences 화면에서 왼쪽 카테고리 목록에서 "Settings"를 선탁하면 아래 이미지와 같은 화면이 나오게 되는데 여기에서 Working Units 항목의 Time 값을 기본 "Flim (24 fps)" 로 되어 있는것을 "NTSC (30 fps)" 로 변경하거나 본인이 원하는 fps로 설정하면 된다.
블랜더 2.58버전이 공개되었다. 아직 조금밖에 만져보지 못해서 얼마나 달라졌는지는 알 수 없지만 FBX Export 부분이 달라진걸 확인 할 수 있었다. unity에서 import 해서 쓰는데 있어 XYZ축이 안맞아 불편했던 점이 사라졌다. 어떻게 달라졌는가 하면 forward와 up의 축을 선택하여 export 할 수 있게 바뀌었다~ 이제 unity에서 import해서 따로 y축을 돌려주거나 할 필요가 없어졌다. 기존 버전에서는 키프레임을 주지 않은 조인트도 유니티로 가져가 보면 무조건 1프레임에 기본값으로 키프레임이 모든 조인트에 적용되어 있었는데 animation keyframe도 1프레임만 피해서 애니메이션을 주었더니 해당 문제가 해결되었다.
하지(夏至)는 24절기중 하나이며, 태양 황경이 90도가 되는 때이다. 양력으로는 6월 21일경인데, 북반구에서는 이 시기에 낮의 길이가 가장 길다. 타카시 무라카미라는 사람은 일본의 대표적인 팝아티스트 중에 한사람 이라고 한다. 타카시 무라카미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http://blog.naver.com/tb/gina710/100047130966
2D 게임이나 애니메이션 작업할때 각 프레임이나 파츠별 png 파일을 개별적으로 관리할때 갯수가 많은 경우 번거롭고 불편한데 이러한 불편함을 도와주는 프로그램이 있다. TexturePacker 라는 프로그램으로 정식버전은 돈주고 구입을 해야 하지만 일부 기능은 무료로도 사용이 가능한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