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file
- flash builder
- 단축키
- Mac
- sdk
- unity3D
- ios
- 배열
- 경로
- 아이튠즈
- AIR
- Ane
- 3d
- 게임
- builder
- XML
- Flash
- Build
- AS3
- 영어
- path
- smartfoxserver
- Game
- iphone
- swf
- texture
- Android
- unity
-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 class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607)
상상 너머 그 무언가...
게임을 하다보면 스킬을 시전한다는 얘기를 한다. 역으로 하면 게임을 만들때에 스킬시전이라는 변수나 함수를 영어로 적어야 하는 상황이 생기는데.... 어떻게 이름을 해줘야 할까.... 시전이라고 검색을 해보면 * 시전(始展) - (여러 가지의 기이하고 신비스러운 동작이나 일 따위를) 펼쳐 보이다. 시행하 다. 실시하다 등 외다, 읊다, 외치다, 부르다 라는 의미도 있다고 하는데요 (스킬을 동양적으로 옮기면 주문이 되기도 하니깐요) 외다, 읊다의 영어단어는 recite, 외치다는 shout.... 뭐가 맞을까 고민고민 하고 있었는데 외국에서 개발된 게임 (WOW)에서는 cast 라는 단어를 사용하는거 같아 요걸로 정하기로 했습니다 ㅎㅎㅎ
Subversion/SVN 설정시 branches, tags, trunk 에 대한 개념 trunk - 기본적으로 개발을 시작할 때 사용하는 디렉토리(소스의 주 개발 작업을 진행하는 폴더) - 모든 프로그램 개발 작업은 trunk 디렉토리에서 부터 시작 - main, mainline, production의 의미로 사용됨 brankches - trunk 에서 뻗어져 나온 나뭇가지(소스의 실험적인 작업을 진행하는 폴더, 소스의 현재 버전을 유지보수 하고, 현재 버전을 기반으로 차기 버전을 개발할 경우 이 폴더 이용) - trunk 디렉토리에서 프로그램을 개발하다보면 큰 프로젝트에서 또 다른 작은 분류로 빼서 개발하는 경우. - 프로젝트 안의 작은 프로젝트 - release 버전과 유지보수 버전을 분리하고 싶을..
양을 그려달라는 어린왕자에게 그려준 구멍이 세개 있는 상자 그림.... 무엇을 원하든 그것이 상자에 있다는 의미의 로고이다. 처음으로 위 로고에 해당하는 이름을 지었던것이 IGEMOYA : 이게모야 ( 어머! 이게모야? ) 하지만 이게모야는 우리나라에서만 통하는 이름인것 같아 뭔가 더 그럴싸한걸 늘 고민하며 지낸다. "에이~ 이게뭐야~~" 라는 부정적인 의미의 문장에서도 쓰이니 더 바꿔야할 필요성을 느낀다 ㅎㅎ 뭐가 있을까.... DreamScope : 드림스코프 ( 꿈을 들여다 보는 ) DreamCube : 드림큐브 (꿈이 들어있는 상자) IllusionScope, DreamWing, ImagineBox.... DreamHole 3Dot, samdot, threePoint, 3Point possibil..
회사이름을 영문으로 표기하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는데 IGEMOYA, Co., Ltd. 라던가 IGEMOYA, Inc. 또는 IGEMOYA, Corp. 라고 적기도 한다. 위 세가지 종류의 차이는 무엇일까 궁금해서 검색을 해봤다. Co. company Inc. incorporated Ltd. limited (유한) Corp. Corporation (기업, 큰 규모의 회사일 경우) Co나 Inc 또는 Ltd 와 같은 영어뒤에 . 로 되는것은 해당 단어가 긴 단어를 줄여쓴 줄임말임을 뜻하는 것이다. 그래서 유한회사의 경우 Co. 과 Ltd. 두개를 붙여 쓰기위해 , 를 사이에 넣어서 붙여준다. 회사이름, 회사, 유한 ===> IGEMOYA, Co., Ltd 검색결과는 유한회사와 주식회사, 기업 을 구분한다..
위 그림에서와 같이 사파리의 메뉴중에서 '윈도우>브라우저 상태도' 메뉴를 선택하면 현재 사파리 브라우저가 어떤 파일들을 읽어서 보여주고 있는지 해당 파일의 경로와 용량을 보여주는 창이 나옵니다. 이때 다운 받고자 하는 파일을 선택하고 Option(alt)키를 누른체 더블클릭(더블터치)를 하면 해당 파일을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 파일이나 동영상, 플래시 파일, 자바스크립트 파일 등 브라우저가 읽어들인 대부분의 파일을 다운로드 할 수 있는것이지요 유투브 사이트에서 플레이 중인 동영상 파일의 경우 상태값에 표시되는 파일 용량이 다른 파일들에 비해 용량이 크기 때문에 파일목록 중에서 파일용량이 MB 단위의 파일을 선택해 다운받으면 현재 페이지에서 로딩된 동영상이라 판단 할 수 있습니다. 주의할 사항은..
WaitForSeconds라는 메소드가 있는데 C#에서 쓰러면 조금 까다롭게 형식에 맞춰서 작성해줘야 한다. 위 예제와 같이 Awake라는 메소드에서 시간을 두번 출력할때 첫번째 시간을 출력 한 뒤 5초뒤에 두번째 시간을 출력하고자 하는경우 또는 일정시간마다 반복 재귀호출 되는 메소드를 작성하고 싶을때에 'IEnumerator' 라는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도록 해당 메소드 앞에 적어줘야 한다. IEnumerator delayTime() { yield return new WaitForSeconds(1); Debug.Log("time = " + Time.time ); } 위와 같이 delayTime이라는 메소드를 적어주면 메소드가 호출되면 1를 기다렸다가 1초뒤에 Debug 문장이 실행된다. IEnumerato..
for (var emitter in childEmitters) { // turn them on or off emitter.emit = on; } 위와 같은 자바스크립트로 작성된 for in 문을 C#에서 동일하게 동작하도록 하러면 foreach (ParticleEmitter emitter in childEmitters) { // turn them on or off emitter.emit = on; } 위와 같이 foreach문을 사용하면 된다.
특정 gameObject와 그 자식 gameObject들이 가지고 있는 특정 컴포넌트들을 한군데에 모아 동시에 제어가 가능하다. GetComponentsInChildren 메소드가 바로 그것이다. 아래 이미지에서 보면 Cube에는 이름이 같은 많은 Capsule 자식(Children)이 있다. 각각 캡슐에는 Collider가 포함되어 있는데 이 많은 자식들의 Collider를 Tirigger 상태로 바꾸러면 자식들의 갯수만큼 반복해서 스크립트를 작성해야 하지만 GetComponentsInChildren 메소드를 사용하면 갯수가 몇개든 쫙~ 찾아서 하나에 담아준다. public Collider[] colliders; // Use this for initialization void Start () { col..
javaScript에서는 @script RequireComponent(컴포넌트이름) C# 에서는 [RequireComponent (typeof(컴포넌트이름))] java의 경우 컴포넌트 이름만 넣어주면 알아서 붙여주지만 C#에서는 typeof() 메소드를 이용해서 리턴된 타입값을 가지고 해당 컴포넌트를 추가로 붙여준다. 테스트 삼아 Cube 게임 오브젝트에 자동으로 rigidBody를 붙여주도록 하는 'requireComponent' 스크립트를 적용시켜보았다. 결과는 아래 이미지에서 처럼 따로 rigidBody를 추가하지 않았는데도 스크립트에서 요청한 문장이 실행되어 자동으로 rigidBody 컴포넌트가 추가되어 있는걸 확인 할 수 있다. requireComponent.cs 파일은 아래와 같이 [Requ..
Blender 라는 무료 오픈소스 3D modeling 툴이 있다. 인터넷에 조금만 검색해보면 우리나라 사람이 만든 동영상강좌도 볼 수 있다. 클릭 몇번만으로 3D객체의 폴리곤(점)과 엣지(선) 페이스(면) 등을 쉽게 제어할 수 있다. Unity3D 프로그램에 사용할 테스트용 3D 모델링 파일을 뚝딱하고 만들어서 써볼까 하고 다뤄봤는데 조금씩 취미삼아 계속 공부한다면 고 퀄리티의 작품도 충분히 만들어 낼 수 있을것만 같다 unity3D 프로그램에서 fbx파일을 불러서 gameObject로 사용할 수 있다.
IT : Information Technology (정보기술) QA : Quality assurance (품질보장) SI : System integration (시스템 통합) UX : User experience (사용자 경험) R&D : Research and Development (연구 개발) PIMS : Personal infomation management system (개인정보 관리시스템) 피쳐 폰 : feature phone (general features phone, 일반적인 기능의 폰)